처음 장례식장을 방문하는 이가 알아야 할 조문 예절 가이드
– 조문객이 꼭 알아야 할 행동과 주의사항
누군가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는 장례식장. 하지만 처음 가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,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. 괜한 실수를 하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하고요.
장례식장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과 행동, 그리고 유의할 점을 정리했습니다. 이 글을 읽고 가면 조금 더 차분하고 예의 바르게 조문할 수 있을 것입니다.
1. 장례식장 방문 전 준비해야 할 것
① 복장: 검은색이 기본
장례식장 방문 시에는 검은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기본 예절입니다.
• 남성: 검은 정장, 흰 셔츠, 검은 넥타이
• 여성: 검은 원피스 또는 검은색 상·하의, 과한 액세서리는 피할 것
• 신발도 가급적 어두운 색이 좋습니다.
혹시 정장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너무 튀는 색상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② 조의금 준비
조문을 할 때 유족에게 조의금을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• 현금 준비: 보통 5천 원~10만 원 사이에서 관계에 따라 조절합니다.
• 조의금 봉투: 흰 봉투를 사용하며, ‘부의(賻儀)’, ‘조의(弔儀)’라고 씁니다.
• 돈을 넣는 방법: 지폐의 방향을 통일하여 넣습니다. (깨끗한 지폐보다는 사용한 지폐가 더 적절합니다.)
2. 장례식장 방문 시 행동 요령
① 조문 순서
1. 빈소 도착 후 방명록 작성
• 입구에서 방명록을 작성하고 조의금을 접수합니다.
2. 분향 및 헌화
• 분향: 향을 한 개 또는 세 개 피운 뒤, 향을 꽂고 두 번 절합니다.
• 헌화: 국화를 헌화할 경우 꽃봉오리가 영정 사진 쪽을 향하도록 놓습니다.
3. 유족에게 조의를 표함
• 유족에게 짧게 인사하고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.
- 예의 바른 조문 멘트 예시
•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”
• “큰 슬픔 중에 계신데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”
• “마음이 많이 힘드시겠지만 부디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.”
- 피해야 할 말
• “어떻게 이런 일이…” (과도한 감정 표현 자제)
• “그래도 오래 사셨네요.” (실례가 될 수 있음)
• “이제 좋은 곳으로 가셨겠죠.” (유족에 따라 불편할 수 있음)
3. 조문 후 식사 자리에서의 예절
장례식장에서는 조문객을 위한 식사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• 유족이 식사를 권하면 가볍게 함께하며,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합니다.
• 너무 오래 머무르거나 술을 지나치게 마시는 것은 피합니다.
• 지나치게 큰 소리로 이야기하거나 웃는 행동은 삼갑니다.
4. 조문 시 주의해야 할 사항
✅ 휴대전화는 무음으로 설정
✅ 과한 감정 표현 자제 (오열, 통곡 등)
✅ 기록을 남기지 않도록 주의 (사진 촬영 금지)
✅ 너무 오래 머무르지 않기 (적당한 시간 후 자리를 뜸)
처음 장례식장을 방문하는 이라면 긴장될 수 있지만, 기본적인 예절을 알고 가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가장 중요한 것은 유족을 배려하는 마음입니다. 조용하고 정중한 태도로 진심 어린 조의를 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처음 결혼식장을 방문하는 이가 알아야 할 예절 가이드
처음 결혼식장을 방문하는 이가 알아야 할 예절 가이드– 축의금부터 복장까지, 실수 없는 결혼식 참석법결혼식에 초대받았지만, 막상 처음 가보거나 오랜만에 가는 경우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
rlawnsql6.tistory.com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벚꽃의 모든 것: 개화 시기부터 유래, 꽃말까지 완벽 정리 (26) | 2025.04.09 |
---|---|
전기 차단기 자주 내려가는 이유와 해결 방법, 꼭 알아두세요 (32) | 2025.04.08 |
4월 5일, 식목일의 의미와 중요성! 우리가 나무를 심어야 하는 이유 (24) | 2025.04.02 |
처음 결혼식장을 방문하는 이가 알아야 할 예절 가이드 (11) | 2025.03.18 |
충치는 이렇게 퍼진다! 충치를 예방하는 관리법과 효과적인 칫솔질 TIP (11) | 2025.03.17 |
임플란트, 이것만 알면 걱정 끝! 종류부터 가격까지 총정리 (12) | 2025.03.15 |
거대한 파도의 공포, 쓰나미의 모든 것과 완벽 대비법 (4) | 2025.03.14 |
자외선, 피해야 할까? 꼭 알아야 할 자외선의 모든 것! (6) | 2025.03.13 |